일본 아이티 SI 기본설계에 대해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기본 설계는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그려내고, 상세 설계와 구현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기본 설계는 시스템의 기능과 구조를 정의하고, 개발 팀 전체가 공통의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됩니다.

 

기본 설계는 외부 사람들에게 잘 이해 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레이아웃 구조라던지 페이지 라우팅 설계라던지 개발자 입장이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이해 할 수 있게 작성해야 합니다.

외부 설계라고도 합니다.

 

이번에는 기본 설계의 중요성과 그 내용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1. 기본 설계의 목적


기본 설계의 주된 목적은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조와 기능을 정의하고,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 관계자 전원이 동일한 목표를 향해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 설계는 프로젝트의 리스크를 줄이고, 후속 단계에서의 변경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기도 합니다.

 

 

2. 기본 설계에 포함되는 주요 요소


기본 설계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됩니다!

  • 시스템 아키텍처: 시스템 전체의 구조를 나타내며, 각 컴포넌트와 모듈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합니다. 여기에는 시스템의 물리적 구성이나 네트워크 구성도 포함됩니다.
  • 기능 요구사항: 사용자가 시스템에 기대하는 구체적인 기능을 정의합니다. 여기에는 유스 케이스나 사용자 스토리도 포함됩니다.
  • 비기능 요구사항: 시스템의 성능, 신뢰성, 가용성, 보안 등 기능 외의 요구사항을 정의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이 어떤 조건에서 동작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합니다.
  • 데이터 설계: 시스템에서 다루는 데이터의 구조와 흐름을 정의합니다. 여기에는 데이터베이스 설계나 데이터 흐름도도 포함됩니다.
  • 인터페이스 설계: 시스템의 외부 시스템이나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합니다. API 설계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3. 기본 설계의 프로세스


기본 설계는 보통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됩니다:👊

  • 요구사항 정의의 확인: 요구사항 정의서를 바탕으로 필요한 기능과 비기능 요구사항을 재확인
  • 아키텍처 설계: 시스템 전체의 구조를 결정하고, 주요 컴포넌트와 모듈을 설계
  • 상세 설계로의 연결: 기본 설계에서 정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상세 설계를 시작할 준비! (이 단계에서 구체적인 구현 방법이나 기술 선택이 이루어집니다)

4. 기본 설계의 베스트 프랙티스


기본 설계를 성공시키기 위한 베스트 프랙티스를 몇 가지 소개합니다:✨

  • 명확한 문서 작성: 기본 설계서는 모든 관계자가 이해하기 쉽게 명확하게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표와 표를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 관계자의 합의 형성: 기본 설계 단계에서 모든 관계자의 합의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리뷰와 피드백을 통해 공통의 이해를 깊게 합니다.
  • 유연성 확보: 기본 설계는 어디까지나 가이드라인이며, 프로젝트 진행에 따라 변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설계를 염두에 둡시다.

 

정리


기본 설계는 시스템 개발의 성공에 필수적인 중요한 단계입니다!

 

대기업 SI에 들어가시게 되면 설계서를 확실히 숙지하시는게 좋습니다.

예를들어 히타치 표준의 설계서 작성에 대한 기술을 익히면 나중에 전문가 처럼 작성 하실 수 있을 것 입니다!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명확히 하고,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설정함으로써 리스크를 줄이고, 원활한 개발을 실현합니다.

개발자로서, 기본 설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여러분 모두 힘내세요! 😎